News

[News] Prof. Se-Bum Paik has been appointed as an Associate Editor of Science Advances Journal

Professor Se-Bum Paik, from the Department of Brain and Cognitive Sciences, was appointed Associate Editor of the prestigious journal Science Advances on March 1, 2025.

Professor Paik participates in the review and editing of research papers in the Neuroscience field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important scientific findings to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Professor Paik also has also served as an Associate Editor and Editorial Board member for various neuroscience journals including the Springer-Nature and Frontiers groups.

📰 “백세범 교수, Science Advances 저널의 부편집장(Associate Editor)으로 임명”

2025 COGI Lab Homecoming Party

[Pulblication] Min Song (Ph.D.) published a paper in PNAS

Congratulations! Min Song (Ph.D.) published a paper 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

Title: “Hierarchical gradients of multiple timescales in the mammalian forebrain”

KAIST NEWS

📰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Korean media report

📰 “KAIST, 뇌 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 이데일리

📰 “KAIST, 한미연구팀 뇌 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 노컷뉴스

📰 “KAIST-美 존스홉킨스, 뇌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 헤럴드경제

📰 “KAIST,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 내일신문

📰 “KAIST-존홉킨스대 “뇌 신경회로 구조 이해 발판 마련”” - 아시아경제

📰 “KAIST, ‘포유류 뇌 구조 공통 설계 원리’ 실마리 밝혀내 “ - 주간한국

📰 “KAIST, 포유류 뇌 정보 처리 원리 밝혀” - 충청일보

📰 “KAIST, 뇌 신경활동 시간적 스케일 규명” - 이뉴스투데이

📰 “KAIST,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 베리타스알파

📰 “KAIST, 美 존스홉킨스대와 뇌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 메디컬투데이

📰 “KAIST, 두뇌처럼 사전 학습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 신아일보

📰 “인간·원숭이·쥐 뇌의 공통점은…"고차원 인지에 시간 투자"” - 연합뉴스

[News] Suhee Cho has received the Talent Medal of Korea (대한민국인재상)

Congratulations! Suhee Cho, a former member of our lab, has received the Talent Medal of Korea (대한민국인재상).

Suhee Cho has been honored with the Talent Award of Korea, which recognizes individuals likely to become future leaders of Korea for their exemplary talents and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society.

She received this recognition for her academic achievements, particularly her research on “Neuromimetic Metaplasticity for Adaptive Continual Learning.”

[News] Dr. Kim has been selected as Simons Postdoctoral Fellow

Congratulations! Dr. Gwangsu Kim, an alumnus of our lab, has been selected as a Simons Postsdoctoral Fellow from the Simons Center for the Social Brain at MIT.

Dr. Kim will receive extensive support for his research on, “Computational Modeling of Joint Encoding of Visual and Valence Cues in Amygdala”.

This fellowship is intended for outstanding candidates with recent PhDs, who wish to conduct autism-related research at MIT under the mentorship of MIT faculty mentors.

[Awards] Seungdae Baek (Ph.D. Candidate) and Minjun Kang (B.S.) received the Outstanding Poster Award at KSBNS 2024

Congratulations! Seungdae Baek (Ph.D. Candidate) and Minjun Kang (B.S.) got the Outstanding Poster Award at KSBNS 2024.

[Publication] Jeonghwan Cheon (M.S.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NeurIPS

Congratulations! Jeonghwan Cheon (M.S.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NeurIPS).

Title: “Pretraining with Random Noise for Fast and Robust Learning without Weight Transport”

KAIST NEWS

📰 뇌 기반 인공지능의 난제 해결

English media report

Korean media report

📰 “KAIST, 뇌 기반 인공지능의 난제 해결” - 글로벌에픽

📰 “KAIST, 뇌 기반 인공지능의 난제 해결” - 대전시티저널

📰 “KAIST, 뇌 기반 인공지능 난제 풀다” - 헤럴드경제

📰 ""뇌 기반 인공지능의 난제 해결"…KAIST 백세범 교수팀, 차세대 AI 개발, 돌파구 될 것!" - 인공지능신문

📰 “KAIST 연구팀, 뇌 모방 인공신경망 효율적 학습 원리 규명” - 뉴스1

📰 “무작위 사전학습→AI에도 적용할 수 있나” - 아이뉴스24

📰 “KAIST, 뇌 기반 인공지능의 난제 해결” - 충청뉴스

📰 “무작위 정보가 메타인지 키운다…뇌 닮은 AI 기술 제안” - 연합뉴스

📰 “KAIST, 뇌 기반 인공지능 난제 해결” - 이뉴스투데이

📰 “KAIST, 뇌 기반 인공지능의 난제 해결” - 베리타스알파

📰 “KAIST, 뇌 기반 인공지능 난제 해결” - 헤럴드경제

📰 “카이스트 백세범 교수팀, 뇌 기반 인공지능의 난제 해결” - 한국강사신문

📰 "“배우는 방법을 배운다” KAIST, 뇌 모방 인공지능 학습 ‘열쇠’ 찾았다" - 아시아경제

📰 “KAIST, 뇌 모방 인공신경망 학습 난제 해결 가능성 제시” - 이데일리

[Awards] Gwangsu Kim (Ph.D.) received the Best Presentation Award in KSBNS 2023

Congratulations! Gwangsu Kim (Ph.D.) got the best presentation award in KSBNS 2023.

[Publication] Hyeonsu Lee, Woochul Choi & Dongil Lee published a paper in Cell Reports

Congratulations! Hyeonsu Lee (Ph.D Candidate), Woochul Choi (Ph.D) & Dongil Lee published a paper in Cell Reports.

Title: “Comparison of visual quantities in untrained neural networks”

KAIST NEWS

📰 뇌의 선천적 수량 비교 원리 규명 (Korean)

Korean media report

📰 사람·동물이 수량 비교하는 능력, 학습 없이도 가능 - YTN사이언스

📰 학습 안해도 어느 쪽이 많은지 안다…“수량 비교는 선천적 능력” - 동아사이언스

📰 韓 연구진 “인간·동물의 숫자 파악 능력은 선천적” - 아시아경제

📰 “어느 접시에 사료가 더 많을까” 동물은 배우지 않고도 알 수 있다 - 조선비즈

📰 인간·동물 생존에 필요한 선천적 수량 비교 원리 찾아 - 이데일리

📰 ‘수량’ 비교는 선천적 능력…KAIST, 자발적 능력 형성원리 설명 - 전자신문

📰 KAIST, 학습없어도 뇌의 선천적 수량 비교 원리 규명 - 신아일보

📰 KAIST, 뇌의 선천적 수량 비교 원리 규명 - 메디컬투데이

📰 수량 많고 적음 비교하는 능력, 안 배워도 뇌에서 저절로 생긴다? - ZDNET Korea

📰 KAIST, 뇌의 선천적 수량 비교 원리 규명 - 금강일보

📰 KAIST 연구팀, 두뇌의 선천적 수량 비교 능력 형성 원리 규명 - News1

📰 개수 차이 인식, 학습 없어도 가능하다 - 헬로디디

📰 갓 태어난 아기도, 동물도 숫자 개념 갖는다 - 서울신문

📰 KAIST, 뇌의 선천적 수량 비교 원리 규명 - BBS News

📰 KAIST 뇌인지과학과 백세범 연구팀, 뇌의 선천적 수량 비교 원리 규명 - 뉴스체크

📰 KAIST, 뇌 선천적 수량 비교 원리 규명 - 전국매일신문

[Awards] Jeonghwan Cheon (Undergraduate) received a CoE Leadership Award from KAIST

Congratulations! Jeonghwan Cheon (Undergraduate) received a CoE Leadership Award from KA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