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 Seungdae Baek, Min Song, Jaeson Jang & Gwangsu Kim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Congratulations! Seungdae Baek, Min Song (Ph.D Candidate), Jaeson Jang (Ph.D) & Gwangsu Kim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The paper is currently on the Editors’ Highlights page.

Title: “Face detection in untrained deep neural networks”

  • Editors’ Highlights (AI and machine learning)
  • 2021 Top 25 Life and Biological Sciences Articles

KAIST NEWS

📰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 (Korean)

📰 Face Detection in Untrained Deep Neural Networks (English)

English media report

📰 Face detection in untrained deep neural networks - News8Plus

📰 Face detection with untrained deep neural networks? - Jioforme

📰 Face detection in untrained deep neural networks - TechiLive.in

📰 Face detection in untrained deep neural networks - NewsBreak

📰 Face detection in untrained deep neural networks? - Sciencedaily

📰 Face Detection in Untrained Deep Neural Networks - Miragenews

📰 Face detection in untrained deep neural networks - Techxplore

Korean media report

📰 “KAIST "뇌 얼굴인지 원리 발견…AI 적용 기대"”- 아주경제

📰 “KAIST, 학습 없이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AI 적용도 기대”- 전자신문

📰 “KAIST,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 ZDNet Korea

📰 “KAIST,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규명”- 메디컬투데이

📰 “외부 학습 없어도 뇌 스스로 얼굴 구분 가능하다”- 헬로디디

📰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졌다”- 뉴스1

📰 “태어나자마자 사물과 사람 구분할 수 있는 이유 밝혀냈다”- msn 뉴스

📰 "‘신비한 뇌’…학습 없어도 선천적 인지 기능 수행"- 의협신문

📰 “카이스트 백세범 교수팀,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 한국강사신문

📰 “KAIST,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 e의료정보

📰 “KAIST 백세범 교수 연구팀, 학습 없는 생물학적 원리 기반의 인공지능 개발 가능성 열었다!”- 인공지능신문

📰 “KAIST,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 베리타스알파

📰 “KAIST,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 한국대학신문

📰 “KAIST, 학습 없이 ‘자발적 발생 뇌’ 인지기능 원리 규명”- 세이프타임즈

📰 “KAIST,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 충청일보

📰 “카이스트, 학습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뇌 인지기능 원리 밝혀”- 에너지경제